728x90
반응형
OSI 7계층
프로토콜 -통신 규약 해당 층에서 다루는 연결 종류
1.물리 계층 ( physical layer ) -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전기적, 물리적 세부 사항을 정의 ( 비트단위로 ) 유선 케이블 형태
2.데이터 링크 계층 ( data link layer ) - 포인트 투 포인트, 맥 주소 ( 물리적으로 할당받는다. ) (프레임 )
3.네트워크 계층 ( network layer ) - ip ( 단위는 패킷 ),가장 중요한건 라우팅 전달 , 주소부여 경로설정 ( 상세 클래스가 있지만 생각하지말자 )
4.전송 계층 ( transport layer ) - tcp udp 프로토콜 , tcp는 신뢰성 ( 세그먼트 )
5. 세션 계층 ( 세션 계층 ) - 여기서부터 데이타를 만드는 계층이다. 양 극단의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제공
6. 표현 계층 ( 프로젠테이션 ) - 코드 간의 번역을 담당하며 인코인 디코딩이 여기서 이루어진다.
7. 응용계층 (어플리케이션) - 포트, 프로토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tcpip 4계층
1.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 물리 계층 + 데이타 링크 계층 , mac
2. 인터넷 계층 - ip 계층이다. 라우팅 담당
3. 전송 계층 - tdp udp/ 통신 노드의 연결을 제어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담당
4. 응용 계층 ( 어플리케이션 계층 ) - udp tcp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할 때 사용
반응형
'IT이론 >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정리 (0) | 2022.03.09 |
---|---|
기타 이론 (sql 확장, 암호화, 쿠키, 웹서버) (0) | 2022.03.05 |
레이드란? (0) | 2022.03.05 |
http와 https? (0) | 2022.03.05 |
웹방화벽이 일반 방화벽과 어떻게 다른가 (0) | 2022.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