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처기 이론 공부를 하다가, 도저히 지루해서 버티지 못하겠다.
어차피 다음 언어로 nodejs를 사용할 것 같으니, 미리 환경 세팅을 한번 해보자.
목표로는, 안정적이고 최신의 nodejs 환경 세팅
local에서 test 구동 가능하고, aws 인스턴스에 배포 환경을 구성해보자.
일단 작업할 깃 레포지터리부터 만들어보자.
이런식으로 프라이빗 레포를 만들고, 자기 로컬에 세팅을 해놓자.
나는 여러 방법이 있지만, git hub desktop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자기 로컬에 세팅을 했다.
이렇게 내 로컬에 세팅을 해주고, open in visual studio code를 실행해주면, 내 레포에 작업할 레포가 완성이 되었다.
이제 브랜치를 파고 코드를 작성해주면 된다. 출처 - https://techblog.woowahan.com/2553/
- master : 제품으로 출시될 수 있는 브랜치
- develop : 다음 출시 버전을 개발하는 브랜치
- feature : 기능을 개발하는 브랜치
- release : 이번 출시 버전을 준비하는 브랜치
- hotfix : 출시 버전에서 발생한 버그를 수정 하는 브랜치
나 혼자 작성하는 코드이지만, 일단, 그래도 구색은 맞춰놓자. master, develop정도는 브랜치를 파고 관리를 해주는게 좋을 것 같다.
마스터를 파고 대충 파일을 생성 한 뒤, 푸시를 하려니깐 210813일 부터 비번 기반 인증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한다.
git 로긴 아이콘 클릭 - > 세팅 -> develop setting -> persnal access tokens
모든 권한 체크 후, 유효기간 정한 뒤 생성해주자. 노트에는 아무거나 적어도 된다.
토큰을 생성 한 후 비번 대신 사용해서 올리면된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webisfree.com
$ git config credential.helper store <- 캐시 안에 있는 아이디 비번 정보로 세팅
아이디 비번을 안쳤다면, 창이 뜰텐데, id는 자기 깃 아이디로, 비번은 토큰으로 입력해주면 된다.
깃 기본 세팅을 끝낸 후...
이런식으로 브랜치가 2개 파진걸 볼 수 있다.
이제 노드 express를 세팅해보자. 기능을 만드는 feature는 노드 세팅이 끝난 후 하겠다.
옛날에 깔아서 버전이 좀 낮은것 같다. 업그레이드를 해주자. https://jsikim1.tistory.com/158 <- node 업그레이드 방법
---------------------------------
su -> 루트 권한으로 들어간다.
sudo npm install -g npm
-> npm으로 npm을 설치한다.
npm cache clean -f
-> npm 캐시 삭제
npm install -g n
-> n이라는 node 관리 모듈을 글로벌로 설치한다.
n stable
-> 안정화된 노드 버전 설치
---------------------------------
다만, vscode wsl에서 퍼미션 에러가 떠서 정상적으로 설치가 안되니, wsl2로 업글 후에 해주자. ( 어차피 wsl 1에선 도커쪽에도 에러가 있다고 한다고 얼핏 들었었으니 이참에 업그레이드를 해놓자.)
1. 윈도우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2. 윈도우 바이오스 모드 들어가서 가상화 기능 켜기 -> 나같은 경우엔 레노버 노트북 윈도우 10이라 부팅 F1 누른 후 바이오스 모드에서 가상화를 다 켰다.
3. 실행 -> cmd ( 오른쪽 클릭 후 관리자 권한 실행 )
4.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입력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옵션 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
5.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 가상 머신 기능 옵션 킴
6. https://wslstorestorage.blob.core.windows.net/wslblob/wsl_update_x64.msi <-해당 파일 다운 후 설치
7. wsl --set-default-version 2-> 버전 2를 기본 사용하도록 세팅
7. https://www.microsoft.com/ko-kr/p/ubuntu-2004-lts/9n6svws3rx71?rtc=1&activetab=pivot:overviewtab <-우분투 20.04 버전 가져오기 ( 18.04 도 나쁘지 않다. )
8. 우분투 20.04 버전 실행이 안된다. - > DISM /Online /Enable-Feature /All /FeatureName:Microsoft-Hyper-V 가상 기능을 켜주자.
이렇게 우분투 20.04에 wsl 2가 세팅되었고, vscode 기본값에 wsl 2를 기본 세팅으로 해주자.
기존 우분투는 지워도 되고, 안지워도 되지만 일단 걍 두겠다.
이렇게 우분투 20.04에 wsl2가 세팅이 됬다.
다시 node와 npm을 다시 세팅해주자.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apt get 모듈을 업그레이드 업데이트 해주고,
apt install nodejs
apt install npm
설치 후 버전이 낮으니 다시 아래의 커멘드를 입력해 버전을 업해준다.
sudo npm install -g npm
-> npm으로 npm을 설치한다.
npm cache clean -f
-> npm 캐시 삭제
npm install -g n
-> n이라는 node 관리 모듈을 글로벌로 설치한다.
n stable
-> 안정화된 노드 버전 설치
세팅 후, 터미널을 다시 켜주면
요렇게 최신판으로 깔린 노드와 npm을 볼 수 있다.
자동으로 express를 세팅해주는 express-generate를 설치해보자.
npm install express-generator -g ( 글로벌로 설치 )
더이상 신규 버전을 지원하지 않는 마지막 버전이란다.
express api <- 입력하면 api이라는 폴더가 생기고,
이 안에 기본 관리 파일이 생긴다.
해당 폴더로 들어가서, ( cd api ), 의존성 파일을 npm istall을 해준다.
그리고 DEBUG=api:* npm start 라는 명령어를 입력해주면, 서버가 돌아간다.
DEBUG=api:* npm start <- 요건 매번 입력하기 귀찮으니 쉘스크립트 파일로 만들어놓자.
나는 api 폴더 바로 바깎에 start_server라는 파일로 만들고, 상대패스로 실행하기 위해 위와 같이 2줄로 구성했다.
해당 스크립트 파일을 실행시키면 자동으로 저렇게 실행이 된다.
해당 변경 내역들을 전부 add 후 push를 하자.
머지 작업 없이 바로 디벨오프에 올려버렸다. feature를 만든 이후에는 머지를 작업하자.
다음은 aws 배포 환경을 세팅해야하는데, 윈도우 가상화문제때문에 생각보다 시간이 걸려버렸으므로 나중에 하자.
다시 정처기 이론 공부를 하자.
'IT이론 > frame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둡이란? (0) | 2022.03.05 |
---|---|
자바 스프링 개념 중요 개념 정리 (0) | 2021.11.23 |
댓글